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욕실 공사를 시작하기전 꼭 체크할 점

by cactushouse 2025. 1. 28.

  이번에는 우리가 욕실 공사를 직영공사나 턴키공사를 할 때 점에 대해 알아보자.

 


1. 우리 욕실이 UBR욕실이라고?!

 UBR 욕실이라고 들어 봤는가.

 25년 정도 지난 아파트에서 종종 발견되는 UBR욕실은 인테리어공사의 복병이다.

욕실공사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원인이기 때문이다.

UBR욕실이란 Unit bathroom의 약자로 바닥과 벽면이 타일이 아닌 조립식 패널로 이루어진 욕실을 말한다.

UBR욕실 철거중 모습

 

 욕실 설비배관이 콘크리트에 묻혀 있지 않고 콘크리트벽과 조립식 패널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패널을 철거하면 설비배관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UBR욕실의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이유는 이러한 설비배관을 모두 처음부터 다시 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철거전에 UBR욕실인지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UBR욕실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한다.

 

 - 첫째, 벽면이나 바닥을 두드렸을 때 퉁퉁거리며 비어있는 소리가 난다.

- 둘째, 세면대의 배관이 욕조 옆면 쪽으로 연결되어 있다.

세면대 배관이 욕조와 연결되어 있는 모습

 

- 셋째, 욕실 천장 점검구를 열어서 벽면 쪽을 바라봤을 때 욕실벽과 콘크리트 벽사이가 떠있다.

 

위 세 가지 특징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한다면 UBR욕실이라고 봐도 무리가 없다.

UBR욕실의 철거비용은 일반욕실 철거비용의 2배 가까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미리미리 파악하고 예산을 잡도록 하자.

 


2. 욕실공사는 타일만 공사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배관변경의 필요성)

욕실공사를 한다고 하면 철거하고 타일공사만 하는 것으로 아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서 설비배관 공사와 방수공사를 필요로 한다. 어떠한 경우 설비공사가 필요한지 살펴보자.

 

첫째, 기존타일을 모두 철거하고 새롭게 타일시공을 예정 중이라면 방수공사는 기본으로 들어가야 한다. 바닥타일을 철거할 때 방수층까지 뜯길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시멘트액체방수로 최소 2회 이상 방수하는 것이 좋다.

시멘트액체방수

 

 방수공사는 기존 욕실타일을 그대로 두고 새로운 타일을 덧붙이기로 시공할 때는 필요치 않다. 하지만 기존에 있는 욕조만 철거하는 상황이더라도 방수공사가 필요하다. 욕조 하부에 방수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둘째, 세면대 하수배관위치를 변경할 때 설비공사가 필요하다. 바닥에 있는 하수배관을 벽면배관으로 옮길 때나 기존 하수배관을 다른 위치로 옮길 때 필요할 수 있다. 바닥하수배관을 벽면으로 옮길 경우 세면대 하부 청소가 쉽고 미관상 좋기 때문에 자주 하는 공사이다.

바닥배관을 벽배관으로 변경한 모습

 

셋째, 기존 샤워 수전이 낮게 달려있어서 더 높게 이동해야 할 때 설비공사가 필요하다. 보통 욕조를 없애고 샤워부스로 사용할 때, 기존 욕조수전이 낮게 세팅되어 있으므로 30cm~40cm 정도 위로 이동해야 샤워부스로 사용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욕실 철거공사 전에 욕실배관을 어떻게 변경하면 욕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 머릿속으로 그려보고 진행하도록 하자.


3. 변기 위치가 좀 이상하다...

욕실전체 철거 후에는 설비기술자분과 상의하여 변기 배관위치와 세면대 수도 배관위치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벽과 양변기배관 중심의 거리가 300mm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일반 양변기는 벽과의 이격거리가 30cm 정도 되어야 하고 세면기도 바닥에서의 설치 높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타일을 붙인 이후에는 배관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철거 후에는 반드시 배관위치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그러나 변기 배관의 경우, 배관의 굵기가 두꺼워서 처음 건물을 지을 때 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정석으로 배관을 꺾어 수정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편심플랜지(후렌지)라는 것을 이용하여 배관의 위치를 약간 수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편심플렌지의 종류

 

 편심플랜지는 규격이 여러 가지이므로 배관을 조절해야 하는 위치에 따라 30mm~200mm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30mm 이하로 조절 시는 타일공사 후에도 설치가 가능하지만 50mm 이상 조절의 경우는 플랜지의 높이가 상당히 높으므로 타일공사 전에 미리 바닥을 상당히 파내고 플랜지를 미리 묻어 놓아야 한다.


4. 욕실에 라디에이터가 있다?!

 라디에이터는 겨울철에 난방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하기 위해 쓰였던 대류난방설비이다.

라디에이터

 

 독일이나 북미등의 외국에서 쓰였는데 우리나라에도 곳곳에 적용된 곳이 많이 있다.

주거시설에서는 대표적으로 욕실에 많이 설치되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녹이 슬고 노후되어 용도에 비해 자리를 많이 차지하게 되면서 현재는 흉물로 취급되고 있다.

라디에이터는 철거가 가능하다. 철거를 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라디에이터를 철거하면서 입수관과 출수관을 연결해 놓는다..

라디에이터에도 난방수가 들어오는 입수관과 라디에이터를 돌아 나가는 출수관이 있다. 만약 라디에이터만 철거해 놓고 이 입수관과 출수관을 각각 막아버리면 욕실 옆 방 난방이 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 왜냐하면 난방수가 옆방의 난방배관에서 라디에이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라디에이터를 철거하면서 동시에 이를 연장하여 욕실 바닥 난방배관공사를 하는 방법이 있다. , 욕실 바닥이 라디에이터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요즘 건축되는 아파트들은 욕실에도 난방배관이 들어가는 곳이 많은데 이와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욕실 바닥이 난방이 되면 습기가 빨리 마르고 겨울철에도 온기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